알쓸 신잡/생활 (Life)

보건증 인터넷 발급. 이렇게 쉬울줄이야!

Mr.Lee선생 2020. 3. 12. 14:30

안녕하세요.

 

Lee선생입니다.

 

학생들이 편의점이나 카페 등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거나

 

요식업계와 위생 관련 업체에 종사하기 위해서는 보건증은 필수항목이지요.

 

예전 같으면 직접 보건소에 찾아가서 신청, 발급을 받았지만

 

요즘엔 인터넷으로 할 수 있는 서비스가 워낙 잘 구축되어있어

 

컴퓨터만 있다면 누구든지 편리하게 발급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

 

오늘은 보건증을 인터넷으로 발급받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1. 보건증 최초 발급

 

보건증을 최초로 발급받기 위해서는 보건소에서 진단받은

 

건강진단결과서가 필요한데 이 진단서는 가까운 보건소에서

 

몇 가지 검사를 받고 발급이 가능한데요.

 

 

 

<가까운 보건소에 방문>

 

주소지와 상관없이 주변에 있는 보건소에 방문을 합니다.

 

이 때 신분증은 필수 지참이며 발급 과정에서 수수료 3,000원이 발생하게 됩니다.

 

(청소년의 경우 학생증이나 여권, 주민등록등본 필요)

 

 

 

<건강진단결과서 작성 및 검사>

 

보건소에 비치된 건강진단결과서를 작성하고 몇 가지 검사를 진행합니다.

 

첫 번째로 폐결핵 검사를 진행합니다. (흉부 X-RAY)

 

두 번째는 전염성 피부질환 검사를 진행합니다.

 

마지막으로 장티푸스 검사를 하는데 채취용 면봉을 항문에 2.5~4cm 정도 삽입해서 제출하면 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2. 보건증 인터넷 발급

 

검사가 끝난 후 3~4일 뒤에는 인터넷으로

 

보건증 발급이 가능합니다.

 

 

다음 포털사이트에 공공보건 포털을 검색하여 홈페이지로 접속해주세요.

https://www.g-health.kr/portal/index.do

 

G-health 공공보건포털

 

www.g-health.kr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메인 화면 좌측 하단에 있는

 

온라인 제증명 발급 신청하기 → 건강진단결과서 (구 보건증)로 들어가 주세요.

 

 

 

 

 

 

통합 프로그램 설치 후 본인의 이름, 주민번호를 입력하고

 

본인을 인증할 수 있는 4가지 방법 중 택 1 해줍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신청 및 발급내역 목록입니다.

 

본인이 출력하고자 하는 내용을 확인해주시면 됩니다.

 

우리는 건강진단결과서 (보건증)가 필요하겠죠?

 

참고로 보건소 검사내역은 1년의 유효기간이 있으니

 

그 이후에 발급받으려고 하면 재검사가 이뤄져야 한답니다.

 


 

아르바이트를 구해야 하는 당사자들은 이러한 내용을 미리 숙지하신다면

 

훨씬 수월하게 업무를 처리할 수 있겠죠?

 

이상으로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
 

도움이 되셨다면 하트와 댓글을 남겨주세요.